![]() |
지난 20일 찾은 대구 중구 서문시장 모습. 사진=성석우 기자 |
![]() |
지난 20일 찾은 대구 중구 서문시장 모습. 사진=성석우 기자 |
[파이낸셜뉴스] [대구=성석우 기자] 보수의 텃밭 대구지역 민심이 심상치 않다. 상당수 보수성향 시민들은 윤석열 전 대통령의 비상계엄과 탄핵정국을 거치면서 기존 여당에 대한 실망감이 컸지만 ‘그래도 다시한 번’이라는 정서가 강했다. 딱 마음에 드는 국민의힘 후보도 없었지만, 더불어민주당 유력주자인 이재명 경선 후보에 대한 정서적 반감이 똬리를 틀고 있었다. 무엇보다 취업난 해소를 비롯해 한국경제 회복 등 실현가능한 정책 공약을 내놓는 후보에 대한 호감도가 높았던 것도 특징이다.
■”여당이 밉지만 이재명은 아니라예”
우선 바닥민심에선 국민 삶의 질 향상이라는 본연의 소임을 도외시한 채 당리당략을 쫓느라 갈등과 반목을 일삼는 정치권에 대한 냉소적 인식이 깔려 있다.
지난 20일 대구 서문시장 2지구 인근에서 의류를 파는 60대 남성 A씨는 “정치는 이제 믿을 끈이 없다카이. 의리도 없고, 다 거기서 거기다예. 그래도 이재명만은 절대 안 된다 아입니까. 표는 찍을 낀데 기대는 안 간다예”라고 말했다.
민생을 외면한 정치권에 대한 혐오가 큰 탓에 지역정서상 국민의힘 후보를 지지하긴 하지만 투표하기가 썩 내키지는 않는다는 말로 들렸다.
그는 윤 전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에 대해 “어정쩡하게 하려다가 더 큰일 났지예. 그래도 얼마나 답답했으면 그런 생각을 했겠노 싶긴 해예”라며 동정론을 폈다.
서문시장 상인 70대 남성 B씨도 비슷한 반응이었다. 그는 “지금은 단일화가 되느냐가 제일 중요합니더. 여당에서 후보가 둘 셋 나오면 무조건 지는 기라”며 “표 나눠먹기 하지 말고 힘 좀 합쳐야 안 되겠습니꺼”라고 했다. 여권 성향의 후보가 난립할 경우 필패라는 얘기다.
그러면서 “홍준표는 속 시원하게 할 말은 하는 스타일 아이가예. 정치는 그런 사람이 해야 된다고 봅니더”라고 덧붙였다.
건어물 가게를 운영하는 60대 C씨는 민주당 이재명 후보에 대해 강한 거부감을 드러냈다. C씨는 “형수한테 그런 말 한 거 보이소. 그거 하나만 봐도 어떤 사람인지 알겠더만예. 대구 사람들 정서엔 절대 안 맞습니더”라며 고개를 저었다. 이어 “누가 되든 우리같은 장사꾼들한테 딱히 나아지는 건 없지만, 그래도 일자리 좀 챙겨주고, 대구 경제에 신경 좀 써줬으면 좋겠심더”라고 말했다.
■상당수 시민 “정책 보고 뽑겠다”
청년층의 반응은 보다 정책중심적이었다. 경북대에 재학중인 20대 남성 D씨는 “포퓰리즘을 경계하고 실용적인 해법을 내는 후보가 필요하다”며 민주당의 김동연 후보와 개혁신당 이준석 후보를 긍정 평가했다. 그는 “국민의힘은 여전히 윤석열 중심에 머물고 있고, 이재명 후보는 전과와 과도한 복지 공약이 문제”라고 지적했다.
회사원인 20대 여성 E씨는 저출산, 일자리, 주거문제를 해결할 후보를 지지하겠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직전까지 대구시장을 지낸 홍 시장의 업적을 높이 평가한 뒤 “신공항, 수성알파시티 조성, 부채 축소 등 구체적 행정을 통해 대구의 구조적 문제에 접근했다”고 짚었다.
올해 대학에 입학한 F씨는 “국민연금 개편, 중국과의 관계 이슈 등을 유심히 지켜보고 있다”며 국민의힘 안철수 후보에 대한 관심을 나타냈다. 그는 “이재명 후보의 중국 기조에 우려가 든다. 국민 걱정을 진심으로 담아내는 리더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서문시장에서 만난 상당수 시민들은 “누가 되든 대구 경제를 살렸으면 좋겠다”며 지역경제 활성화를 후보 선택의 주요 기준으로 제시하기도 했다.
■보편적 지역정서 속 중도층 선택 관건
이 같은 민심은 대구 특유의 정치 지형과도 맞닿아 있다. 대구는 제19·20대 대선과 올해 총선을 거치며 일관된 보수후보 지지성향을 보여왔다. 19대 대선 당시 홍준표 후보는 대구에서 45.4%를 기록했고, 20대 대선에선 윤석열 후보가 75.1%로 전국 최고 득표율을 기록했다. 지난해 4월 총선에서도 국민의힘은 대구의 대부분 지역구에서 압승을 거뒀고 비례대표 정당투표에서도 전국 평균을 크게 웃돌았다.
정치 전문가들은 이러한 흐름을 정당 충성도보다는 정체성 기반에 대한 선택으로 해석한다. 그동안 지역사회가 공유해온 보수성향의 정치적 정서와 역사적 맥락이 축적된 결과라는 분석이 나온다. 한 지역 정치권 관계자는 “보수 텃밭이라는 프레임은 더 이상 절대적이지 않다”며 “대구에서도 경제와 민생, 미래를 중심으로 한 표심 이탈과 재편이 감지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특히 중도적 청년 유권자들의 비중이 무시할 수 없을 정도로 늘고 있으며 그들의 시선은 매우 냉정하다”고 덧붙였다.
다만 일부 계층과 지역에서 ‘실용주의 우선’에 기반한 탈보수 성향도 감지되지만, 아직은 구조적 전환을 이끌 만큼의 수준은 아니라는 평가도 나온다.
[email protected] 성석우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파이낸셜뉴스 핫뉴스]
→ 신정환, 女연예인 성접대 폭로 “1000만원 받고 남자 3명과…”
→ 前 쇼트트랙 선수 김동성, 안타까운 근황 “아내와 건설현장서…”
→ 오윤아 “내게 대시했던 16세 연하남, 연락 와서…” 고백
→ ‘사모님’ 잘나갔던 김미려, 충격 고백 “매니저 몇 명이…”
→ 김종인, 놀라운 예언 “민주당과 맞설 유일한 후보는 바로…”